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중소기업 ESG 평가 대응을 위한 지표 타당성 연구
    ESG 및 사회적가치 2022. 1. 19. 00:00

     

    최근 기업 경영의 중요 요소로 부상하고 있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중소기업에도 필수적이며, 확산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ESG란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달성하기 위해 경제적 이익 외 기업 경영의 3가지 핵심요소를 정의한 것으로 임직원,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 환경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의무와 책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SG경영이 탄소 배출 감축 등 환경경영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기에 매출과 생산 규모가 낮은 중소기업에서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대기업 중심의 ESG 경영 규준을 어떻게 하면 중소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중견 및 중소기업 실무자의 현장과 실제 목소리를 십분 반영하여 중소기업 ESG 경영의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 집필된 표 및 이미지 일체는 연구진에게 저작권이 귀속되며 무단 배포 및 사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전체 원문을 검토하시길 원하시면, 조직 소개 및 보고서 활용 목표와 함께 이메일로 소개해 주시면, 전문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보고서에 의거한 중소기업 ESG 컨설팅 및 멘토링 역시 문의 주세요. (Email: 전서은 연구원 / soen.soc@gmail.com)
     

     

    Ⅰ 연구 배경

    1. ESG 중요성 대두 배경 분석

    ESG 경영 증가 추세에 대한 배경 분석

    a.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 최근 국회 ESG포럼 발족, 대통령의 ‘ESG 확대 원년선포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 ESG경영을 요구하는 대상과 범위는 점점 확대되는 추세임. 2021년 기준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 공시 의무 2030년까지 상장사 대상, 환경·사회부문까지 공시 의무 확대

    b. 글로벌 투자기관 및 신용평가사 관심 증대

    • 책임투자서명 기관과 책임투자 자산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
    • 글로벌 최대투자기관인 BlackRock은 주주서한을 통해 ESG를 강조
    • 글로벌 신용평가사들도 기업에 대한 ESG 평가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ESG 글로벌 투자기관 관심 증대 트렌드

    c. ESG 관련 국내외 규제 증가

    • 기업의 ESG 요소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정부 및 규제기관들도 규제를 급격히 확대하면서, 기업들의 ESG 경영에 대한 요구가 극대화
    • 국가별 2050 탄소중립(Net-Zero) 계획이 발표되는 추세에 따라 국내외 주요 국가 및 투자처에서 기업에 탄소중립을 요구하고 있음
    • 국내 ESG 유관 법안도 21대 국회 출범 이후 약 115으로 법제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음

    국내 ESG 법제화 움직임 증가 / Copyrightⓒ2022 by 전서은

     

    중소기업 관점에서 ESG 대응 중요성 

    a. 대기업의 ESG 경영 이행 수준 증가

    • 국내외 주요 기업들은 ESG 평가 대응의 주안점을 두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ESG 활동을 공시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음.
    • 2020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개수는 135개로 10년 전 대비 64%의 증가율을 보임
    • 2020년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수는 87개로 전체 보고서 발간의 65%를 차지
    • 사회적 책임지수 편입 여부와 기업 가치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누적초과수익율, 누적초과거래량 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음. ESG 우수 기업 편입 노력이 기업 가치 증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근거가 됨

    b. 중소기업 ESG경영 이행 필요성

    • 대기업 중심으로 협력사의 ESG 행동 규범을 선언하고, 규범 항목에 따른 협력사 실사 및 평가를 진행하며 계약, 거래조건에 반영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
    • 중견기업의 경우 대기업 매출 의존 비율이 약 75%로 나타나는 등, 대기업 매출 의존도가 높은 중소/중견기업은 대기업 ESG 경영 이행 요구에 무관할 수 없음
    기업명 공급망 ESG 요구 현황
    애플 (Apple) - RE100 선언 2030년까지 협력사 재생에너지 100%
    - 201949개국 1142개 협력업체 평가, 탄소배출량 100만톤 이상 감축
    테슬라 (Tesla) - 배터리 수급 시, 아동 노동 착취가 이뤄지는 코발트 공급망 제외
    - 2019년 임팩트 보고서에 코발트 프리 계획 발표 및 인권·산업안전 항목 추가
    삼성전자 - RBA, RLI 등 글로벌 공급망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이니셔티브 가입
    - 협력사 선정, 운영, 평가 단계에 지속가능 고려하여 공급망 리스크 관리 중

     

    • 전자, 자동차 등 일부 산업은 대기업 납품이 주 수익원인 중소기업이 상당 수를 차지하며, 1개 대기업 납품이 중소기업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과반수 이상인 경우가 많음

    Copyrightⓒ2022 by 전서은 

     

    • ESG 경영을 권고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및 주요 평가기관에서는 기업의 공급망 및 협력사에 대한 ESG 활동을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지속가능 경영 지수 편입을 원하는 대기업들은 더 많은 협력사 및 계열사에 ESG 관행이나 실행 성과 자료를 요구할 것으로 전망됨
    ESG 이니셔티브 주요 목적 협력사 ESG 요구사항
    GRI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으로 경제, 환경, 사회의 주제별 영향 보고의 표준 규격 제시 조달 관행, 경쟁저해행위, 공급업체 환경평가
    주요 계약 시 인권 심사 여부, 사회영향평가 등
    SASB 투자자들에게 비재무정보 제공 및 산업별로 중요한 ESG 이슈에 대한 기업별 성과 비교 근로 조건, 원재료 조달, 기후변화, 환경·사회 영향력 평가 등 (산업별로 특화된 평가지표 제시)
    DJSI 전세계 상위 기업들의 경제, 환경, 사회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성 분석 - 환경영향평가, 생물다양성, 인권실사 프로세스, 공급업체 행동규범(CoC), 계약업체 LTIFR
    - 각종 정책 적용 범위의 공급업체 포함 유무 평가

    TCFD
    기후변화가 미치는 기업의 재무적 영향을 공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및 권고안 온실가스 Scope3 배출 측정, 전환 리스크 평가
    세계경제포럼
    사업활동의 지속가능 성과를 개선하고 사업과 운영에 지속가능 Practice를 통합 아동·강제노동 리스크 평가, 반부패 정책/절차 교육 이수 비율, 온실가스 Scope3 배출 측정 등

    하지만 대부분 ESG 평가지표가 대기업의 경영을 진단하는 데 맞추어져 있어 중소기업의 대응이 어려움. 예컨대 국내 대표적인 평가 체계인 KCGS 평가의 경우 지배구조 핵심지표 11개 중 9개가 주주, 이사회, 감사기구 관련 내용인데 중소기업은 이러한 기능들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음

    중소기업 ESG 선행 연구 조사

    EU 역내 SME(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와 인도 제조업 SME를 각각 대상으로 하여 중소기업 평가에 최적화된 지속가능경영 평가 기준을 제안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외에도 중소기업의 ESG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음

    논문명 시사점
    중소중견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의 도입 및 실행에 대한 실증분석 (오덕교 외, 2013, 생산성연구 제27권 제 1) - 2012KCGSESG 점수 비교 결과, 대기업이 사회책임경영 전 항목에서 중소중견기업보다 유의하게 우수함
    Automated Sustain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Reporting (Kassem, E. et al, 2020, Sustainability 12(14)) - 중소기업의 경제, 환경, 사회, 거버넌스 이슈를 반영한 KPI 세트와 평가 모델을 연구하고 중소기업들이 자동적으로 지속가능경영을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제안함
    Developing SME sustainability disclosure index for Bombay Stock Exchange (BSE) listed manufacturing SMEs in India(Singh, M. et al, 2020, Sustainability 23(1)) - 인도 제조업 중소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SR)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Substantiality disclosure index (SSDI)를 개발함. SSDI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환경과 사회 영역 보고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됨
    The Influence Of Firm Size On The ESG Score: Corporate Sustainability Ratings Under Review (Singh, M. et al, 2019, ournal of Business Ethics 167(2)) - 현재의 ESG 평가 방식은 큰 규모의 기업에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사회책임 투자자들에게는 투자를 위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에 미흡함

     

    2. 연구 내용 및 범위

    연구 목표

    • 중소기업에 대한 현 ESG 지표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적용 실효성 검토
    • 주요 국내외 지표(MSCI, DJSI, KCGS)와 글로벌 이니셔티브(GRI, SASB, TCFD) 분석을 통해 공통 필수 ESG 평가항목 파악
    • 설문 및 심층 인터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ESG 인식 및 대응성 실태를 조사하고, 중소기업 ESG 경영 도입 및 확산 방향성 도출
    • 중소기업 ESG 경영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지원 및 추후 지원 사업, 연구 방향성 제안

    연구 방법론

    Track 1: 글로벌 ESG 지표 분석

    • 주요 이니셔티브의 요구조건을 분석, 각 항목을 대기업/중소기업으로 구분하여 적용의 실효성을 파악
    • 주요 ESG Rating의 평가지표를 분석, 현재 대기업 위주로 구성되어있는 지표의 타당성을 평가

    Track 2: ESG 지표에 대한 국내 기업 실무자 의견 수렴

    • 글로벌 ESG 경영 증가 추세, ESG 지표 평가 방식 등에 대한 질문지를 도출하여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30개 이상 기업의 의견을 수집
    • 설문 기업 중 ESG 경영 평가 및 심층 인터뷰 가능한 중소기업 선별
    • ESG경영 원칙을 도입하고 있거나 관심이 있는 중소·중견 기업 실무자 심층 인터뷰 및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정성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해서는 다음 항목을 중심적으로 의견 수집
    · ESG 경영 및 지표에 대한 이해
    · 현재 국내외 ESG 지표를 적용하여 자가 진단 가능성
    · ESG지표 및 가이드라인 적용 한계점 및 개선 방안
    · 사회적경제 및 사회혁신조직 지원의 ESG 인식 및 지원 방향
    · 기업의 업(業)에 맞춘 ESG 전략 실행의 가능성과 실무자 인식

     

    Ⅱ 연구 추진 내용

    1. 국내외 ESG 평가 지표 조사

    글로벌 ESG 평가체계 분석틀 적용 및 조사

    a. 조사 대상 ESG 평가체계 선정

      • 중소기업은 ESG 자가 진단을 중심으로 자사의 ESG 현황을 파악하고 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자가 진단 방식(Sustainability SElf-Asssessment Questionnaire, SAQ) 템플릿을 보유한 국제 평가 시스템을 검토하기로 함
      • 대표적인 글로벌 평가 체계로 DS SAQ, Ceres SAQ, RBA SAQ, GRI 4개 이니셔티브를 조사 및 분석하였음
      • 각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기업 공통 필수 ESG 평가지표set를 도출하였으며 해당 분야별 ESG 지표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환경(E) 평가지표>

    분류 세부 항목 지표명 평가 내용
    환경데이터 환경데이터  환경데이터 검증 환경데이터 검증 수준 판단
    환경경영 환경 정책/투자/성과  환경 정책 환경경영체계를 위한 관리정책 공개
     환경목표/실적 온실가스 등 환경 분야 단기/중장기 목표 수립 및 추진성과 공개
     환경성과평가/감사 환경성과평가 및 내외부 감사 시행
     환경경영체계 및 전담조직/환경교육 환경경영 전담조직 공개 및 교육 현황
     환경투자계획/이행 환경투자계획, 계획대비 이행실적
    사업장환경 용수  용수 배출/저감 총 용수 공급량, 재활용량 및 저감활동
    원부자재  원부자재 배출/저감 원자재별 사용량 및 저감활동
    폐기물  폐기물 배출/저감 폐기물 처리량, 재활용량 및 저감활동
    대기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 배출원별 배출량 및 저감활동
    냉매가스  냉매가스 사용량 국내외 냉매가스 사용량
    VOC  VOC 배출량 국내외 VOC 배출량
    수질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배출/저감 종류별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및
    저감활동
    유해화학물질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 화학물질 사용 및 배출 절감 활동
    환경 관리 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규제관리체계, 환경사고 대응체계 ISO 14001 EMS 인증범위/환경규제관리 시스템 구축/환경사고 예방관리
    환경리스크 관리  환경 위반 환경규제 위반 횟수, 과태료 내역
    기후변화 온실가스  온실가스 (Scope 1) 배출량 온실가스 (Scope 1) 배출량
     온실가스 (Scope 2) 배출량 온실가스 (Scope 2) 배출량
     온실가스 (Scope 3) 배출량 온실가스 (Scope 3)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 감축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투자금액, 회수기간 등
    에너지  에너지 배출/저감 (재생에너지) 에너지원별 소비량 파악 및 에너지 사용절감/신재생에너지 현황
    기후변화 전략/목표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전환리스크(화석연료 대체) 등 기후 변화로 인한 리스크 도출, 관리
     기후변화대응 목표 중장기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수립 (과학적 접근법(SBTi) 적용 권고)
    제품환경 제품 전과정 관리  제품 전과정 관리 전과정평가(LCA) 시행 및 디자인-원료-생산 등 단계별 관리현황
    유해물질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유해물질 관리 목표 및 관리 프로세스

     

     

    <사회(S) 평가지표>

    분류 세부 항목 지표명 평가 내용
    사회데이터 사회데이터  사회데이터 검증 사회데이터 검증 수준 판단
    윤리 행동강령  행동강령 반부패, 차별 등의 요소를 포함한 행동강령 제정 및 공개
     반부패/뇌물정책 정치기부, 자선기부 등이 불법적으로 유용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 수립
     행동강령 내재화(교육/서명) 행동강령 내제화를 위한 서명, 교육 (임직원뿐 아니라 협력사 등 포함)
     행동강령 시스템 행동강령 시스템 운영(핫라인,
    처벌규정 등) 및 내부고발제도 운영
    위반행위  반경쟁 행위 반독점/반경쟁적 행위 벌금과 합의금
     부패/뇌물 행위 부패 및 뇌물 사례
    공정거래  공정거래/반부패 프로그램 협력사 공정거래 실천프로그램,
    반부패 프로그램 운영
    안전보건 안전보건체계  안전보건시스템/정책 안전보건 정책, 시스템 운영 및
    안전보건시스템 인증 현황
     안전보건활동 안전보건 프로그램 운영 및 목표 설정
    산업재해 관리  산업재해 /내외 산업재해자 수/비율
     LTIFR(직원) /내외 사업장 LTIFR 추세 확인
    (상해로 인한 손실일수/백만 근무시간)
     LTIFR(협력사) /내외 협력사 LTIFR 추세 확인 (상해로 인한 손실일수/백만 근무시간)
     OIFR(직원) /내외 사업장 OIFR 추세 확인 (업무로 인한 질병건수/백만 근무시간)
    이해관계자 이해관계자 참여  사회공헌 파트너십(NGO ) 사회공헌활동과 관련 NGO/시민단체 파트너십
     지역사회 기여/참여 지역사회 주민의견 수렴 협의채널 운영 및 지역사회 기여 노력
    총 출연금 및 지출  총 출연금 및 지출 로비, 산업협회 지출 등 출연금 현황
     주요 출연 내역 상위 5개 지출처에 대한 출연 사유, 출연 액수 등 공개
    고객 고객만족도  고객만족도/서비스만족도 고객만족도 추세 확인 (NCSI / KS-QEI / KCSI )
    제품 안전  제품 안전 영향 파악 제품/서비스 안전 보장 정책 수립 및 제품 안전평가 시행
     안전보건 규정 위반 사건 안전보건 규정 위반 사건 수 및 관련 처리비용 현황
    협력사
    ESG
    협력사 행동강령  협력사 행동강령 노동, 안전 등의 요소를 포함한
    협력사 행동강령 제정 및 배포
    협력사 리스크 관리  협력사 리스크 관리 체계 (실사) 협력사 리스크 평가기준 수립 및 실사(고위험 업체 식별)
     협력사 리스크 모니터링 핵심 협력사 및 고위험 협력사 대상 지속적인 모니터링
    공급망 전략  공급망 전략 (ESG 통합) 공급망 관리전략, 협력사 선정 기준 등에 ESG 반영/목표 설정
     공급망 역량강화/지원/소통 협력사 지원(동반진출, 역량강화 등)
    인권 직원 다양성  여성 임직원 현황 국내 및 해외 권역별 여성 임직원 비율
     여성 관리자 현황 국내외/ 직급별 여성 관리자 비율
     사회취약계층 고용 현황(장애인) 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
     연령대별 임직원 현황 30세 미만/ 30-50/ 50세 이상 임직원 현황
     남녀동등급여 임원/관리직/비관리직 남성 대비 여성 임금 비중
    노사관계  결사의 자유 임직원의 결사의 자유 보장 및 단체교섭 관리 절차
     단체협약 단체협약이 적용되는 임직원 비율
    차별 및 괴롭힘  차별 및 괴롭힘 관련 정책 직장 내 차별 및 괴롭힘 방지를 위한 정책 제정 및 관리체계 구축
     차별 및 괴롭힘 모니터링 프로세스 차별 및 괴롭힘 관리를 위한 식별, 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 및 조치
    아동/강제노동  아동/강제노동 관련 정책 아동/강제노동 리스크 방지를 위한 정책 제정 및 관리체계 구축
     아동/강제노동 모니터링 프로세스 아동/강제노동 리스크 관리를 위한 식별, 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 및 조치
    인권 정책  인권 정책 자사, 공급망, 이해관계자 등을 포함한인권 정책 제정 및 공개
    인권 리스크 관리  인권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인권 리스크 관리를 위한 리스크 식별,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인권 리스크 모니터링 프로세스 인권리스크 관리를 위한 식별, 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 및 조치
     인권 리스크 관리 공시 인권 실사를 통해 도출된 고위험 사업장, 고위험 계층 등의 결과 공개
    인재개발
    (HRD)
    인재개발 프로그램  직원 교육 및 내부 충원 인당 교육비용/시간 및 ESG 관련 교육 현황
     직원 역량개발 프로그램 직원 역량개발 프로그램 운영 및 관련 사업적 효과 측정
     퇴직자 지원제도 해고자 또는 퇴직자 지원 프로그램
    인사관리
    (HRM)
    임직원 평가보상  임직원 임금 및 근로시간 임직원 근로시간 및 보수 규정 준수여부
     개인 성과평가 유형 목표관리(MBO), 다면 성과평가 및 상대평가 적용 직원 비중
    임직원 복지  복지 프로그램 재택근무, 법적 기준 초과의 육아휴직 등 임직원 복지 프로그램 현황
     육아휴직 현황 육아휴직 사용현황 (복귀율, 유지율)
    직원 유치 및 유지  기간제 근로자 고용 기간제 근로자 고용현황
    비정규 직원 혹은 파트타임 직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 정규직 직원 대상의 보상
     신규채용 신규채용 인원수(고용 프로그램)
     직원 이직률/근속연수 총 이직률 및 자발적 이직률 현황과 근속연수

     

    <지배구조(G) 지표>

    분류 세부 항목 지표명 평가 내용
    이사회 ESG 거버넌스 ESG 토픽에 대한 임원진 책임 이사회/위원회의 ESG 이슈 관리
    ESG 관련 지배구조 및 권한 위임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설치 여부
    이사회 독립성 사내/사외이사 비중 이사회 현황 공개 및 목표 사외이사
    비중 수립/공개
    이사회 의장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장 선임여부,
    CEO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 선임
    이사회 다양성/효율성 이사회 성비 이사회 구성원 중 여성 이사의 비율
    이사진 겸직/이력 검토 사내/사외이사의 타 이사회/기타
    겸직 현황 및 횡령/배임 이력 검토
    이사진 평가 이사진/이사회 성과 및 보수에 대한
    자가/3자 평가 및 근거 공개
    이사회 재임기간/연임 평균 재임기간 및 최대 재임기간 규정
    이사회 성과/보상 이사보수한도/내역 이사보수, 한도, 성과급 기준 및 금액에 관한 사항 보고
    CEO CEO 성과/보상 CEO 성과/보상 기준(ESG포함) 재무지표, ESG지표 등 경영진
    성과평가 지표 보고
    정보보안 개인정보보호 위반 개인정보 침해 건수 개인정보 침해 건수 (외부기관/
    규제기관에 접수된 불만사항)
    ESG 관리 중요 이슈 중요 ESG 이슈/목표 전략, 운영, 재무, 평판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ESG이슈/목표 보고 및 책임
    ESG 이니셔티브 ESG 이니셔티브(CDP, UNGC ) UNGC, CDP 등 이니셔티브/평가 참여 및 환경 등 이니셔티브/파트너쉽 형성
    ESG 보고 SR ESG 커뮤니케이션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정례화
    지속가능경영 이슈 확산 전파 노력 등
    리스크 관리 체계 잠재(중장기) 리스크 잠재 리스크(디지털 등 3-5년내 도래할 위험) 정의, 사업영향 및 대응 보고
    리스크 관리 문화 리스크 관리 내재화 (직원/프로세스)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한 교육,
    평가보상에 반영, 보고체계 수립 등

     

    중견 및 중소기업 대상 ESG 지표 타당성 설문 결과  

    a. 중소기업 ESG 지표 타당성 설문조사 개요 

    • (목표 및 취지) 중소기업 ESG 경영 확산 및 지원을 위해서 시장 내 ESG 인식 성숙도 및 ESG 경영 도입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함. ESG 평가 대응 관련 피평가 기업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실무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중소기업 ESG 지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선행 유사 조사와의 차별점) 기존의 ESG 유관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들에서는 ESG 경영의 어려움이나 실태, 중요성 인식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응답 비중이 약 과반수 이상을 차지함. 본 연구를 위해 수행한 기업 설문에서는 산업계에서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 및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실무자를 중심으로 의견을 수집함
    • (조사 기간) 2021102일부터 1031(30)
    • (조사 방법) 온라인 응답폼(https://www.moaform.com/)통해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음. 파일럿 설문을 포함하여 총 40명이 응답하였고, 파일럿 응답과 무효 응답을 제외 후 37명의 결과를 취합함. 설문 응답시 희망 의사를 보인 총 9개 기업과 설문 주제와 유관한 후속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음. 인터뷰는 대면 및 온라인 비대면 방식을 병행함
    • (조사참여자 특성) 
    - 회사별 분포는 중소기업 88.89%, 중견기업 11.1%이었으며 중소기업은 다시 일반 중소기업(19.4%), 스타트업(38.89%), 사회적경제조직(30.6%)로 나누어졌음.
    - 업종은 총 12개로 제조업이 27%를, 비제조업이 73%를 차지함. 제조 다음으로 많은 업종은 정보지식 서비스(IT, 광고 등)으로 나타남.
    - 기업 임직원 수는 4인에서 883인까지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61.2명이었음.
    - 응답자의 직급별 분류에 따르면 대표 및 임원(이사 등)이 83.8%로 응답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관리자(과장 이상)가 5.4%, 일반 사원이 10.8%를 차지함.

     

    기업 실무자 입장에서 ESG 경영 인식 사전 조사

    • (조사방법) ESG 관련 정보 제공 전, 실무자가 어떤 지식 및 인식을 갖고 있는지 질문
    • 중소기업 실무자 중 81.5%는 기업에 요구되는 ESG 경영에 대해 1(‘이해도가 매우 낮다’)부터 5(‘이해도가 매우 높다’) 3에서 4의 이해 수준임 
    • 중소기업 실무자 38명 중 가장 많은 수인 15명은 재직 중인 기업이 ‘ESG 경영을 어느 정도 하고 있다답변하였음. 답변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나면 산() 모양으로 그려짐 

    재직 기업 ESG 경영 수준에 대한 응답 결과 (c) 전서은

    • 재직 중인 기업의 ESG 경영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1(‘전혀 필요하지 않다’)부터 5(‘매우 필요하다’) 중 2와 3에 각각 5.26%와 23.68%, 4(필요하다)와 5(매우 필요하다)에 44.74%, 26.31%가 답함. 기업 규모를 불문하고 대부분의 기업 실무자들이 ESG 경영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음.
    • 재직 중인 기업에서 추구하고 있는 지속가능경영 또는 지속가능성, 혹은 응답자가 생각하는 지속가능경영 관련 주관식 질문을 물어봄. ESG 경영 확산 추세에 맞춰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는 지속가능경영 아이디어가 제출되었으며, 이외 ESG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다음의 자유 응답이 제출되었음
    규모/
    분류
    답변
    중견 공정 경쟁, 공정 기회에 의한 경쟁력 강화
    중견 1.소속 근로자에 대한 관계에서의 건전성 - 이익공유, 인격적 존중
    2.경제적 이익 추구 과정에서 사회적 의미 발견 - 조화 추구, 양자 간 지나친 괴리의 경계
    3.잉여이익의 사회 공여 등
    스타트업 함께 일하는 협력회사들과의 건강한 관계, 임직원들과의 안전과 안녕에 초점을 맞춘 경영(생활 급여 이상 지급, 안전한 근무환경 마련, 정기적인 만족도 조사, )
    스타트업 현재 소유,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의 효과적 활용을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자원 절감
    사회적 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문화, 제로 웨이스트, 수익의 100% 재투자 원칙
    사회적 기업 사회적가치창출과 재무적 가치 창출이 align되는구조
    사회적 기업 기업의 사회적가치에 대한 직원 및 고객들의 공감대 확산,
    직원들의 팔로쉽 강화 및 안정적인 복리후생 등

    기업 실무자 심층 인터뷰 주요 결과 

    설문 응답자 중 ESG 지표 타당성 및 내부 ESG 경영 현안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희망하는 기업 9곳에 대해 약 60분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음. 인터뷰로 확인된 주요 시사점은 아래와 같이 정리함

    첫째, ESG 경영에 대한 실무자 인식 전환이 중요함

    • ESG 컨설팅 및 인터뷰에 응할 정도의 관심 수준이 높은 기업 실무자의 경우 ESG 배경 및 평가 대응 필요성 등에 대해서 이해도가 이미 높았음.
    • 그러나 ESG 도입 이유에 대해서 브랜드 악화 및 투자자 평가 불이익 회피 등 부정적 영향을 인식하는 경우는 없었음. 도리어 ESG 경영으로 인한 기업의 이득에 대한 실무자의 의식 형성(sensemaking)이 이루어지면 ESG 경영 방침 및 실천 비용에 대해서도 타당하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음
    • 실무자의 중요성 인식 형성과 전환에 있어서는 운영 비용 저감, 투자 유치, ESG 우수기관 대상 정부 포상경제적 인센티브가 중요하게 나타남

    둘째, 평가 항목에 대한 인식은 비즈니스 모델 및 산업 특성에 영향을 받음

    • 설문 및 인터뷰에서 S(사회) 평가 지표 대응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대응 가능성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 사업 모델 및 지배구조 (자금 구조 등)에 따라 중요성에 공감하는 지표가 E, S, G 각각 다른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음

    셋째, 중소기업은 ESG 지표는 최소한의 핵심 원칙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한다고 인식함

    • 사회적 경제기업, 스타트업을 비롯한 중소기업 응답자 대부분은 ESG 지표가 대기업 경영 요소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고 인식함
    • 그러나 응답 기업 과반수 가까이가 기업 책임 경영에 있어서는 중요성에 공감함. 지속가능경영의 기본적인 원칙을 핵심 지표로 수립하고, 세부 지표는 기업 특성에 따라 차별화, 특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함

     

    Ⅲ 기대성과 및 활용 방안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 글로벌 이니셔티브 및 평가지표의 중소기업 적용 가이드라인
    • 중소기업의 ESG 정보 공시 매뉴얼
    • 중소기업 핵심성과지표(KPI)의 ESG 편입을 위한 학술적 프레임워크
    • 중소기업 ESG 대응 사례연구 보고서
    • 학계 참여 간담회 및 정책제안

    후속 연구 제안

    a. 중소기업 전용 ESG 지표 관련 연구

    • 중소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ESG 평가지표 및 이니셔티브 개발
    • ESG 평가지표에서 중소기업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조건 연구

    b. 중소기업 ESG 인증 기준 개발

    • 국내 중소기업 대상의 ESG 우수 기업 인증제도 방안 연구 및 사업 기획
    • 중소기업 ESG 우수기업 레퍼런스 업로드 및 정보 공유, 홍보, 지지서명 등 온라인 플랫폼 구축 기획 및 개발

     

    사회적가치연구원(CSES)의 연구장학금을 바탕으로 설문 및 인터뷰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연구 전문 파일 열람 및 인용 요청, 중소기업 ESG 솔루션 컨설팅/멘토링 문의는 연구원 이메일로 주시기 바랍니다. (soen.soc@gmail.com)
(c) 전서은 (mailto: suli.d.jeon@gmail.com)